Monday, December 2, 2024

미국에서 차 구입한다면 고려할 점

 미국에 1년 혹은 2년을 오게 될 때 가장 중요한 것이 자동차다.

혼자든 식구들과 함께 오든 자동차는 중요한 이동수단이다. 가격도 만만치 안고 나중에 팔고 갈 것까지 생각을 해야 한다. 그러니 다음 조언을 깊이 새기시기를 권한다.

처음 미국에 오는 분들은 차가 중간에 고장날까 무서우니 비싼차를 사고 싶어 하지만 예산이 문제가 된다. 그렇다고 저렴한 중고차는 좀 꺼려지기도 한다. 그런데 한국 사람들에게 차의 개념은 미국에서는 통하지 않는다.

미국에서 자동차는 잘 가고 서면 된다. 아무리 20년이 넘은 차도 잘 가고 선다면 OK다. 실제 1999년식 차를 올 여름까지 몰았고 별 문제 없었다. 지금도 2008년식 미니밴은 21만 마일이 넘었지만 장거리도 쌩쌩 잘 달린다.

미국에 왔으니 한국차는 타고싶지 않을 수 있다. 일본차를 타라고 주위에서 말하기도 한다, 독일차도 좋아보인다. 하지만 예산이 항상 문제다. 여기서 예산이 문제가 된다면 생각해보자.

$15,000의 예산이면 한화로는 매우 큰 금액이지만 미국에서 차를 사기에는 가장 애매한 금액이다. 물론 중고차의 경우다. SUV나 미니밴정도가 여행다니기도 좋지만 이 가격으로는 마일이 아주 많거나 연식이 오래된것을 골라야 한다. 

우선 자동차는 잘 가고 서면 된다고 했었다. 그러니 동네에서 타고 다니는 차는 오래되고 마일도 많아도 상관없다. $1,000에서 $3,000 정도로 골라보자. 외관이나 내장이 험해도 타는데 지장이 없다면 문제없다. 그리고 장거리를 가게 될 경우 렌트하시기를 권한다. $1,000에서 $3,000 정도의 아주 저렴한 차는 팔리기도 잘 팔린다. 손해보는 금액도 적다. 하지만 $15,000이상의 차를 살 경우 팔 때는 1/2도 안쳐준다. 얼마나 손해가 많은가!!

한국에서 자동차는 신분을 나타내지만 미국에서 자동차는 그냥 이동수단일 뿐이다. 옆집 사람이 어떤 차를 사던 상관없이 내가 불편하지 않고 다닐 정도면 된다는 마인드가 필요하다. 이런 마인드가 없다면 돈을 많이 손해 볼 각오를 하시던가....


미국에 올 때 무엇을 가져올까?

 미국에 1년정도 오게 되는 분들의 짐을 보면 각종 조리도구와 양념류, 부식들과 4계절 옷, 골프채나 테니스채 등 운동장비들을 다 가지고 오는 경우를 보게된다. 그러다보니 4인가족이라면 각자 큰 캐리어와 기내용 캐리어에 추가로 이삿짐박스 5-6개를 가지고 오는 것을 본다. 다이소에서 잡다한 물건들을 싹 쓸어오시는 경우도 있고 병원 조제약을 종류대로 가져오기도 한다. 그러니 짐이 많아질 수 밖에...

우선 옷은 도착지 계절에 맞는 옷을 한 두벌만 챙기고 나머지는 현지에서 구매를 하는것이 옷값도 싸고 힘도 들지 않는다. 물론 미국의 면제품이 한국에 비해 조금 못하지만 1년 입고 버리고 간다는 생각으로 옷을 줄여야 한다.

조리도구나 식재료의 경우 미국에 와서 큰 도시를 간다면 전혀 필요가 없다. H 마트나 비슷한 마트에 필요한 것은 다 있다. 작은 도시도 기본은 다 구할 수 있다. 부식이나 양념도 마찬가지다. 단 고추가루는 한국에서 가져오기를 권장한다. 여기 고추가루는 진짜 맛이 없으니...

병원 조제약을 챙기는 것은 좋은 방법이다. 여기서도 약을 구할 수는 있지만 한국처럼 항생제 처방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운동장비(골프채, 테니스라켓...)를 가져오시지 말 것을 권한다. 현지에서 중고로 혹은 신제품을 사도 한국보다 더 싸고 좋다. 

미국에서는 Amazon.com을 통해 모든 것을 살 수 있다. 그러니 다이소에서 쇼핑하는 것은 별 도움이 안된다.

미국을 오기전에 꼭! 알아야 할 것들

 대부분의 한국분들이 미국에 올 때 간과하는 것들이 있다.

특히 연말에 이동하려고 할 경우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한다는 점이다.

우선 연말에 와서 정상적인 정착을 시작하기가 불가능하다.

미국은 크리스마스와 신년 휴가를 많이 지키기 때문에 12/23 - 1/2 사이에 미국에 도착할 경우 공항에서부터 문제는 발생한다.

짐이 도착하지 않았을 경우 대개 수하물표가 있기에 다음 날 정도에 정해진 주소지로 배달해 주지만 연말에는 모든 배달업체가 정신없는 기간이라 며칠이 걸릴지 모른다.

공항에서 숙소 혹은 아파트까지 이동수단이 문제가 된다 . 특히 렉싱턴은 우버나 리프트, 택시가 그리 많지 않고 비싸다. 잡기도 어렵다. 대중교통은 당연히 없다. 렌트를 한다면 이동을 할 수 있지만 지리에 익숙하지 않으니 만만치 않다. 

숙소가 아파트인 경우 아파트 관리사무소는 연말에 대부분 문을 닫는다. 전화를 해도 자동응답기가 받기는 하지만 메시지를 남길 수 없다. 그러니 다른 사람에게 미리 키를 받아달라고 하지 않는 한  집에 들어갈 수 없어서 호텔에 묵어야 하는데 호텔도 대부분 이 기간에는 만원이다. 짐을 바리바리 들고 이동하기도 어렵다.

아파트 키도 해당 아파트에 사는 지인이 아니면 잘 내주지 않는다. 만일의 경우 책임소재가 불분명하기 때문이다. 

아파트의 전기, 개스, 물, 인터넷... 이들 중 하나라도 없다면 추위와 싸워야 한다. 보통은 한국의 경기도 정도의 날씨지만 2년 전 연말에는 기온이 영하 40도까지 떨어지고 눈도 많이 내려서 많은 고생을 한 경험이 있다.

연말에는 관공서, 학교, 은행 할 것 없이 모두 문을 닫는다. 특히 은행은 며칠씩 문을 닫으니 현금을 준비하지 않으면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식당도 많이 문을 닫고 크리스마스에는 심지어 맥도날드 같은 패스트푸드도 문을 닫는다. 한국에서 가져온 식재료나 조리도구가 없으면 자칫 굶을 수도 있다.

아마 미국에 있는 여러분의 지인들도 연말에는 장거리 여행을 계획할 수 있다. 그런데 '나 좀 픽업해 달라'고 부탁하기도 애매하다. 지인의 입장에서도 안 들어줄 수 없고 난감하다. 왜냐하면 대부분 미국에 사는 사람들은 여행을 계획할 때거의 한 달 이전에 계획을 하고 예약을 하기 때문이다. 

이런 문제들은 사소해 보이지만 연말에 이동을 하려는 분들이 꼭 마주치게 되는 문제들이다.

그러니 될수록 연말을 피해서 미국에 올 수 있도록 준비하시는 것이 현명하다.

부득이한 경우 연말에 미국에 오게 된다면 미리 호텔도 일주일 정도 넉넉하게 예약하고 렌트카도 미리 공항에서 픽업하도록 예약하는 것이 민폐를 줄이는 길임을 기억하자.

Wednesday, July 24, 2024

켄터키 운전면허 변경 - 한국 운전면허를 바로 켄터키 주 운전 면허로 변경 가능 해졌습니다 - 뉴시스 기사 복붙

 [서울=뉴시스] 김남희 기자 = 한국 운전면허 소지자라면 다음 주부터 미국 켄터키주에서 별도 시험 없이 면허를 발급 받을 수 있다. 


경찰청은 15일 미국 켄터키주와 운전면허 상호인정 약정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켄터키주는 미국 내 26번째 상호인정 약정을 체결한 주가 됐다.

경찰청은 재외국민을 지원하기 위해 2022년부터 외교부와 합동으로 켄터키주 측에 운전면허 상호인정 체결을 요청해 협의를 진행해 왔다. 

체결 7일 후인 오는 22일부터 한민국에서 발급받은 유효한 운전면허증을 소지한 사람은 별도의 운전면허 시험 없이 켄터키주 운전면허로 교환 발급받을 수 있다. 

합법적으로 미국 체류 자격을 가지며 켄터키주에 거주하는 유효한 우리나라 운전면허증(제1종 대형·특수·보통면허, 제2종 보통면허) 소지자는 별도 시험 없이 켄터키주 운전면허증(Class D)을 취득할 수 있다.

켄터키주에 거주 중인 재외국민은 약 1만2000명에 달한다. 

마찬가지로 우리나라에 합법적으로 체류하면서 외국인 등록을 마치고 켄터키주 운전면허증(Class D)을 소지한 사람도 적성검사만 받고 우리나라 운전면허증(제2종 보통면허)을 취득할 수 있다.

윤희근 경찰청장은 "이번 약정 체결을 계기로 미국 켄터키주에 진출한 우리 기업 관계자들의 편익 증대 및 양국 간 우호 증진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켄터키 주에 한국 기업들이 들어와서 공장을 세우고 고용창출에 기여하기 시작하면서 까다롭기로 유명하던 켄터키 주 운전면허 취득에도 큰 변화가 생겼습니다.
Andy Beshear 켄터키 주지사가 한국을 방문하는 동안 한국 경찰청을 방문하여 이와같은 일이 진행된 것인데, 기사에는 외교부와 경찰청이 한 것 같이 나와있지만 사실은 켄터키에 있는 한국 기업들이 주지사에게 요청하고 Andy Beshear 주지사가 한국에 가서 추진한 일입니다. 
왜냐하면 주지사는 자기가 주지사로 연임을 하려면 주민들에게 이익이 되는 일들을 해낸 업적을 평가받아야 하는데 이는 고용기회가 많아지도록 하여 주민들의 경제적 삶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결국 켄터키 주에 들어와 있는 한국 기업들의 노력으로 이루어진 일인 것입니다. 
다른 주에서 한국 운전면허를 바꿔주는 제도가 시작된것도 이런 배경이 있었던 것입니다. 
이렇게 한국 기업으로 인해 한국의 위상이 높아짐에 현지 주민으로서 한국 기업들에 감사를 드리는 바입니다. 

Saturday, March 9, 2024

렉싱턴 정착도우미소식 3 #여행 #DST #공휴일 #뱀 조심

 이제 어느정도 정착이 끝나가시리라 생각하며....

사실 한 곳으로 이주하고 정착이 완전히 마치기 까지는 1년정도 시간이 걸리는 것이 보통이다.

때가 때이니 만큼 DST(Daylight Savings Time)에 대해 적어보고자 한다.

사실 이 제도를 만들게 된 것이 낮시간(해가 있는 동안)의 활동을 좀 늘리는 개념으로 산업의 생산성을 높인다는 목적이 강하게 어필된것이지만 한 번 바뀔 때마다 신체적인 적응도 만만치 않고 실제적인 생산성이 높아졌는가에 대한 조사도 일방적인 답정너식 조사여서 의문이 한 두 가지가 아니다. 그런데도 이걸 굳이 따라하겠다는 정부지도자들은 머리속을 좀 들여다 봐야겠다.

우선 올해 2024년은 3월 10일에 DST가 시작된다. 즉 3월 10일 새벽 2시가 땡 하는 순간 새벽 3시가 되는 것이다. 그러니 아침에 전 날보다 한 시간 일찍 일어나는 신체적경험을 하게 된다. 이게 별거 아닌 것 같지만 실제 생활에서 오는 타격은 제법 커서 한 일주일에서 열흘 정도는 아침시간이 몽롱한 상태를 유지한다. 왜냐하면 몸은 이전의 기억을 하고 있어서 늦게 잠자리에 들어가게 만들고 시간적으로는 일찍 일어나야하기 때문이다. 아침잠이 없는 사람들 혹은 늦게 일어나도 되는 사람들은 아무것도 아닐지 모르나 아침잠이 많거나 새벽에 일을 시작하는 사람들에게는 무척 힘든 일이다.

그 다음은 여행을 다닐 때 계절을 꼭 염두에 두고 동선을 짜는 것을 권한다. 여기서 시카고나 나이아가라, 보스턴이나 뉴욕은 한국으로 생각하면 신의주 너머 만주벌판쯤으로 생각해야 한다는 것! 그러니 적어도 5월까지는 남쪽으로 여행을 가시기를 권한다. 특히 뉴잉글랜드지역은 까딱하다간 눈폭풍도 만날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사람들도 겨울(11 - 3월)에는 남쪽으로 여름(6-8월)에는 북쪽으로 여행을 간다는 것을 생각해보면 왜 그래야 하는지 이유가 나온다.

여행시 염두에 둘 것중 중요한 것은 미국 공휴일이다. 미국은 공휴일에 문을 닫는 곳이 많다. 이걸 생각하지 않고 연휴에 어디를 가다가 차에 이상이 생기면 갈 데가 없다. 게다가 공휴일에는 여러가지 비용을 올려받는 곳이 많다. 공휴일에 문 열었으니 공휴일에 오는 사람은 돈 더내라는 식이다. 응급실 비싼 것 생각하면 이해가 된다. 

앞으로 있을 공휴일은 미국달력을 참고하시길 바란다. 연방공휴일과 주 별로 다른 공휴일이 있다. 새로생긴 휴일 중 Juneteenth - 노예제도 종식의 날(6/19)도 연방에서 정한 공휴일인데 주 마다 지키기도 하고 일부(공공기관, 은행등)만 지키기도 한다.

공휴일에 사람들이 몰릴 것으로 예상되는 곳(7/4에 워싱턴DC)은 사람구경하기 좋은 장소다. 아이들과 동반한다면 잃어버릴 수도 있으니 조심하시고 다른 곳에 가도 불꽃놀이는 다 볼 수 있다. 

여행을 가기전 사전조사를 통해 계획을 짜는 분들이라면 주변의 교포들에게꼭 조언을 받기를 권한다. 묻는데 비용이 들지 않으니 숙소결정, 여행가서 볼 것, 가고 오는 길에 들려야 할 곳 등등 조언을 받아서 불필요한 것은 걸르면 된다. 현지에서 오래 산 사람의 시각은 꽤 쓸모있고 때론 중요하기도 하다.  

미국은 땅이 넓어서 동부와 서부의 시차가 세 시간이 나기 때문에 방학중이라면 상관없지만 학기중이라면 다녀와서 이틀정도 휴식기간이 꼭 필요하다. 몸이 피곤하면 병이 나기 쉽고 그러면? 병원 가야 하는데 병원비가 많이 든다. 

야외 활동할 때 운동화를 신어야 하는 이유는 발을 보호하기 위한 것임은 다 아는 이야기다. 그런데 개인적인 경험을 이야기 하자면 Myrtle Beach에서 캠핑을 할 때 옆에서 캠핑하던 노부부 캠퍼 계단앞에 지렁이만한 것이 있었는데 cooperhead(미국살무사) 새끼였다. 새끼지만 성체보다 1000배 강한 맹독을 가지고 있다고 그 뱀을 잡은 할아버지가 알려주었다. 


 


Thursday, December 14, 2023

렉싱턴 정착도우미 소식 1

 우선 렉싱턴에 오셔서 정착에 필요한 일들을 안내드리겠습니다.

가장 먼저 휴대폰과 은행계좌, 자녀 입학을 위한 예방접종 기록의 보건소(Health Department) 확인 등 
정착을 위한 필수적인 일들이 진행되어야 할 것입니다.

대부분 유틸리티(전기, 개스...)는 인터넷으로 접수 및 처리가 되고 집에서 사용할 와이파이도 인터넷으로 구매가 가능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것들의 대부분이 신용카드가 아닌 은행계좌에서 직접 자동으로 인출되는 방식으로 바뀌고 있기에 은행계좌 개설이 매우 중요합니다.
미국의 특성상 필요한 물품을 현장에서(코스트코, 샘스클럽 등) 구매할 수 있지만 배송이 며칠 걸리는 경우도 있기에 Amazon Prime계정을 개설하시면 여러모로 편리합니다. (학교 이메일을 이용하여 학생 가격으로 가능할 것입니다.)

연말인 관계로 시간을 잘 확인하셔야 합니다.
미국은 크리스마스 & 연말 연휴로 공립학교 및 교육청이 12월 20일 - 24년 1월 3일 까지 문을 닫습니다.
따라서 이 기간에 하실 수 있는 것은 기본적인 생활용품, 침실용 가구 등을 구입하시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크리스마스 이브인 24일은 저녁 5-6시면 대부분의 식당(패스트 푸드 포함), 그로서리 스토어가 문을 닫고 25일에도 
제한적으로 영업을 합니다. 
식료품이나 필요한 물품은 미리 사 두시기를 권합니다. 

자동차 운전은 한국과 비슷합니다. 
흐름에 따라 운전하시되 주택가나 이면도로에선 규정속도를 지키시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도로옆에 있는 스톱사인(빨간 팔각형에 STOP이라고 표기)에서는 반드시 정차 후 출발 하셔야 합니다.
STOP 사인 아래에 All Way, Four Way, Three Way인 경우는 먼저 온 차량 부터 순서대로 서고 출발하면 됩니다. 
대부분의 도로에서 비보호로 좌회전이 가능하니 안전에 유의하셔서 좌회전을 하시고 우회전은 특별히 No Turn on Red라고 되어있거나 우회전 전용신호가 없으면 우회전이 상시 가능합니다.

각종 결제는 신용카드나 체크카드(Debit Card)로 되고 현금도 잘 받는 편입니다. 
한국만큼 무인 인출기가 많지 않아 현금보다는 카드를 주로 사용하는 편이고 Apple Pay나 Android Pay도 점차 늘고 있습니다.

공항에서 픽업이 필요하시면 렉싱턴 공항 도착편명과 일정을 알려주시고, 몇 명이 오시는지 알려주시고 
그 외에 정착과정에 도움이 필요하시면 편하게 연락 주시면 되겠습니다.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이메일로 연락주시면 답해 드리겠습니다.
제 연락처는 1-859-553-1511 입니다. 문자나 카톡으로 연락주시면 되는데 제가 이중직(Bi-Vocational) 목회자라서 회사 근무시간에는 답장이 늦을 수 있습니다. 

렉싱턴 정착도우미 소식 2

 정착도우미 소식 2편


초, 중, 고 학교생활

1. 등, 하교: 아주 가까우면 걸어갈 수 있지만 대부분 부모들에 의한 라이드 혹은 스쿨버스를 탑니다. 

    렉싱턴의 경우 Fayette County Public School 홈페이지를 참고하세요. (FCPS.net 입니다)

2. 아침, 점심 급식: 대부분 아침을 먹고 등교하지만 점심은 학교급식의 질이나 양이 충분하지 않아 

    도시락을 싸는 학생들이 늘고 있습니다. 조금 힘들어도 급식보다는 도시락을 권합니다.

3. 수업도구: 필기는 2B 연필을 주로 사용합니다. 볼펜은 거의 사용하지 않고 샤프를 쓰기도 합니다. 

                    온라인 수업이나 숙제를 할 수 있도록 전교생에게 크롬북을 나눠줍니다. 

4. 휴교, 온라인 수업: 지역특성상 눈이 많이 오는 경우에는 NTI(Non Traditional Instruction) Day로 

                      집에서 온라인으로 수업을 진행합니다. 학교에 전화나 이메일을 등록하면 전날 저녁에 혹은 

                      당일 이른 아침에 문자, 음성메시지, 이메일로 학교가 문을 닫는다고 연락을 해줍니다. 

                      교육청 웹에서도 확인 가능합니ek.(FCPS.net)

5. 학교를 방문할 경우 입구의 벨을 누르고 Front Office에서 신분과 방문목적 확인 후 기다리면  안내를 

     해줍니다.  



아파트에 처음 입주할 때

- 미국 아파트는 입주청소가 되어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전 세입자가 실내에서 신발을 신고 생활을 했는지 

확인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가급적 맨발로 다니는 것보다는 우선 실내화나 두꺼운 양말을 신고 다니면서 

청소를 깨끗이 하거나 러그, 카페트를 덧깔고 사는 것이 위생적입니다. 스팀청소업체를 불러서 한 번 청소하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 바닥 난방이 안되어 있어서 그냥 맨바닥에서 자는 것은 힘들 수 있습니다. 최소한 두툼한 요가매트나 침낭이 

필요합니다. 무게가 감당된다면 한국에서 캠핑용 자충매트리스를 가져오시는 것도 초기 정착에 도움이 됩니다. 


- 미국의 집들은 천정에 전등이 없는 곳이 많습니다. 구석마다 스탠드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니 월마트등에서 저렴한 것으로 구입하시기를 권합니다.


- 방이나 거실 입구의 전기 스위치를 켜지 않으면 벽에 있는 특정 콘센트를 사용할 수 없는 곳도 있습니다. 즉 콘센트에 전기기구를 사용중인데 방의 불을 끄면 같이 전기가 차단되기도 하죠.


- 에어컨과 히터가 모두 하나의 조절기로 온도조절이 가능합니다. 특히 전기로 난방이 되는 경우에는 온도를 세심하게 조절하시기 바랍니다. 에어컨과 히터는 대부분 일정한 온도로 계속 틀어놓는 것이 효율도 좋고 비용도 덜 듭니다. (예: AC 여름 실내온도는 76 - 78도, Heat 겨울 실내 온도는 68 - 70도) 장기간 외출할때는 조금 낮게 혹은 높게 설정해 놓으시면 됩니다.(예: 여름 80 - 82도, 겨울 60 - 65도) 절대 끄지 마세요!


매트리스 vs 메모리폼

매트리스는 창고형매장에서 구입할 수 있지만 직접 날라야 한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그래서 미국 가정들은 트럭을 많이 가지고 있지요. 메모리폼은 아마존에서 구입하면 집으로 배송되는데 2 - 3일간 펼쳐놓고 부풀기를 기다려야 하지요. 매트리스나 메모리폼은 트윈<풀<더블<퀸<킹의 사이즈가 있는데 대부분 아파트에 킹사이즈 들어가는 

방이 거의 없을 겁니다. 1인용은 트윈, 2인용은 퀸이 정석이겠죠.


건식 욕실문화

미국의 욕실/화장실은 모두 건식입니다. 따라서 바닥에 물을 흘리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만약 바닥에 물이 넘치거나 흐를 경우 아래집 천정에서 물이 새니 각별히 주의해야겠죠.


초기 식생활

간단한 밑반찬 몇 가지 정도 있으면 좋습니다. 코스트코에 즉석밥도 팔고 미국 마트에도 사발면과 쌀 정도는 다 

있습니다. 일회용 수저는 한인마트에 있습니다. 대부분의 아파트는 냉장고, 전기스토브와 오븐, 마이크로웨이브와 식기세척기가 기본으로 있고 세탁기와 건조기가 설치되어 있는 아파트도 있습니다. 


쌀 구입: Long grain과 Short grain 중에 Short grain을 사야 합니다. 미국 마트에서도 Brown rice(현미)는 팔고 

한인마트에는 다 있습니다.


식재료: 초기에는 한인마트에서 식재료를 사야하지만 채소들과 과일, 고기는 미국마트에서 사는 것이 싱싱하고 

저렴합니다. 


간단하게 한 끼 때우기

피자나 햄버거, 샌드위치, 치킨윙으로 끼니를 간단하게 때울 수 있습니다. Five Guys나 Culver's에서 햄버거나 

샌드위치 주문할 때 토핑은 everything이라고 하거나 all the way라고 하면 됩니다. 

햄버거: Five Guys - 땅콩을 무한 리필로 먹을 수 있어요. 감자튀김이 아주 맛있습니다.

            Culvers - Butter Burger를 Single, Double, Triple로 선택하고 Basket(세트)로 할 지 알려주세요

            Shack Shack Burger: 조금 더 비싸지만 한 번쯤?

피자: Domino's, Papa Jones, Jet's, Mad Mushroom... - Jet's Pizza에서 8 corner를 드셔보세요.

         Whole Foods에서도 화덕피자를 판매합니다 - 주문하고 15분 기다립니다. 


감자튀김을 주문할 때 어느 음식점이든 No salt로 해달라고 하면 튀겨놓은 것이 아니라 아예 새로 다시 튀겨줍니다. 


미국 레스토랑에서 가성비인 메뉴 역시 햄버거입니다. 물론 스테이크나 BBQ백립처럼 다른 메뉴도 한국에 비하면 아주 싸지만...


한국처럼 쿠o잇츠, 배X의 민족이 없어서 아쉽지만 Uber eats 같은 앱으로 주문도 됩니다. 하지만 꽤 오래걸리고 팁까지 줘야하니 대도시가 아닌 렉싱턴에서는 사용하기 힘듭니다.